메뉴
부동산계산기.com
보수·수수료
수수료
중개보수(복비)
법무사보수
감정평가수수료
취득·등기비용
취득비
등기비용
취득세
국민주택채권
인지세
건물 부가세
보유세
재산세
보유세 통합
(재산세+종부세)
지역자원시설세
양도세
양도세
법인양도세
증여·상속세
상증세
증여세
상속세
상속지분
임대·투자
임대수익률
적정 매수가
간주임대료
주택임대소득세
종합소득세
전월세 전환
월세보증금 조정
착한 임대인 혜택
전세보증보험
임대료 상승분
연체 임대료 이자
명도비용
DTI·LTV
DTI
총부채상환비율
DSR/신DTI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RTI
이자상환비율
LTV
주택담보대출비율
대출가능액
면적·가격등
면적·가격등
날짜·기간
평수환산
단위가격
대지지분
건폐율·용적률
건물 잔존가치
건물 기준시가
재건축 연한
리모델링 수익
누진세
경매 계산
경매
경매비용
경락대출 한도
경매 배당
명도비용
적정 입찰가
금융 계산
금융
대출 이자
예적금 이자
중도상환수수료
추정소득
대출가능액
대출대환 이자
경락대출 한도
전세보증보험
부동산 정보
정보
자유게시판
포럼, 질문답변, 건의
세무사 절세팁
부동산 매물
부동산 정책
부동산 뉴스
부동산 위키
부동산 실거래가
안드로이드 어플
아이폰 앱
모든 문서 목록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문서
토론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주택임대 소득세
편집하기
부동산위키
이동:
둘러보기
,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주택 임대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 ==주택의 정의와 범위== *[[주택]] 참고 ==과세 대상== 사업소득 중 '''부동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비과세 소득 : 1개의 주택을 소유하는 자의 주택임대소득은 비과세 **단, 기준시가 12억원 초과 및 국외 소재 1주택 소유자의 임대소득은 과세 **ʼ14~ʼ18년 귀속의 총수입금액의 합계액이 2천만원 이하인 자의 주택임대소득은 비과세 '''소득세법 제12조(비과세소득)''' 다음 각 호의 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과세하지 아니한다. 2. 사업소득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득 나. 1개의 주택을 소유하는 자의 주택임대소득(제99조에 따른 기준시가가 12억원을 초과하는 주택 및 국외에 소재하는 주택의 임대소득은 제외한다) 또는 해당 과세기간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총수입금액의 합계액이 2천만원 이하인 자의 주택임대소득(2018년 12월 31일 이전에 끝나는 과세기간까지 발생하는 소득으로 한정한다). 이 경우 주택 수의 계산 및 주택임대소득의 산정 등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과세 대상 소득의 구성== ===총 수입금액 구성=== 월세 + 보증금등에 대한 간주임대료 *과세기간 동안 받았거나 받을 예정인 월세액 *보증금 등에 대한 [[간주임대료]] ===수익금액의 귀속연도=== *계약 또는 관습에 따라 지급일이 정해진 것:그 정해진 날 *계약 또는 관습에 따라 지급일이 정해지지 아니한 것: 그 지급을 받은 날 === 계산법 === * 주택임대 총수입금액이 2천만원 초과인 경우 {| class="wikitable" |이자 소득 금액 |(+) |배당 소득 금액 |(+) |상가 등 임대소득금액 |(+) |주택 임대소득 금액 |(+) |사업 소득 금액 |(+) |근로 소득 금액 |(+) |연금 소득 금액 |(+) |기타 소득 금액 |} {| class="wikitable" |= |종합소득 금액 |(-) |종합소득 공제 |= |종합소득 과세표준 |(×) |세율 (6~42%) |= |종합소득 산출세액 |(-) (-) |세액감면 세액공제 |= |종합소득 결정세액 |} * 주택임대 총수입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 class="wikitable" !구 분 !주택임대 수입금액 !필요경비 !기본공제<sup>2)</sup> !분리과세 사업소득금액 !산출세액 !세액감면<sup>3)</sup> !분리과세 결정세액 |- |등록임대 주택<sup>1)</sup> | rowspan="2" |월세 + 간주 임대료 |60% |4백만원 | rowspan="2" |수입금액 (-)필요경비 (-)기본공제 | rowspan="2" |과세표준 (×)14% |단기(4년) 30% 장기(8년) 75% |산출세액 -감면세액 |- |미등록 임대주택 |50% |2백만원 |<nowiki>-</nowiki> |=산출세액 |} ==분리과세== '''제14조(과세표준의 계산)''' ③ 다음 각 호에 따른 소득의 금액은 종합소득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합산하지 아니한다. 7. 해당 과세기간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총수입금액의 합계액이 2천만원 이하인 자의 주택임대소득(이하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이라 한다). 이 경우 주택임대소득의 산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공제 금액== '''필요경비 및 기본 공제''' * 등록임대주택의 경우 필요경비 60%를 차감하고 과세 ** 종합소득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여기서 추가로 400만원 차감하고 과세 * 미등록임대주택의 경우 필요경비 50%를 차감하고 과세 ** 종합소득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여기서 추가로 200만원 차감하고 과세 '''제64조의2(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세액 계산의 특례)''' ② 제1항제2호가목에 따른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사업소득금액은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총수입금액의 100분의 50으로 한다)를 차감한 금액으로 하되,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을 제외한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추가로 200만원을 차감한 금액으로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대주택(이하 이 조에서 "임대주택"이라 한다)을 임대하는 경우에는 해당 임대사업에서 발생한 사업소득금액은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총수입금액의 100분의 60으로 한다)를 차감한 금액으로 하되,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을 제외한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추가로 400만원을 차감한 금액으로 한다. == 세액 감면 == * 민간임대주택을 4년 이상 임대한 경우 30% 감면 * 장기일반민감주택을 8년 이상 임대한 경우 75% 감면 '''제96조(소형주택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액감면)'''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내국인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대주택(이하 이 조에서 "임대주택"이라 한다)을 1호 이상 임대하는 경우에는 2022년 12월 31일 이전에 끝나는 과세연도까지 해당 임대사업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의 100분의 30[임대주택 중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또는 같은 법 제2조제5호에 따른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이하 이 조에서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등"이라 한다)의 경우에는 100분의 75]에 상당하는 세액을 감면한다. <br />
요약:
부동산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동산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